티스토리 뷰
이번 겨울, 난방비가 예년보다 더 많이 나왔다고 느끼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. 특히 장기간 추운 날씨가 지속되면서 도시가스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. 다행히도 2025년 동절기에도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가 시행됩니다!
이 제도를 활용하면 가스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현금 보상을 받을 수 있어, 에너지도 절약하고 가계 부담도 줄일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의 신청 방법과 절약 팁을 자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신청 마감일: 2025년 3월 31일
이번 기회를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!
신청을 원하는 분들은 **K-가스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**에서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.

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란?
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가구를 대상으로, 동절기(12~3월) 동안 전년도 사용량보다 3%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을 지급하는 프로그램입니다. 단, 30% 절감 한도가 있으며, 지급 단위는 10원 단위로 절사 됩니다.
또한, 기온 상승에 따른 자연 감소를 반영하여 온도 보정계수가 적용될 예정입니다. 예를 들어, 동절기 평균 기온이 전년 대비 1°C 상승할 경우 약 5% 자연 감소가 예상되므로, 절감 기준이 3%에서 8%로 조정됩니다.
2025년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 주요 내용
✅ 참여 대상: 주택난방용(개별난방/중앙난방)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
✅ 신청 기간: 2024년 12월 1일 ~ 2025년 3월 31일까지
✅ 절약 기간: 2024년 12월 ~ 2025년 3월 (2025년 1월 ~ 4월 고지서 발행분)
✅ 비교 기간: 2023년 12월 ~ 2024년 3월 (2024년 1월 ~ 4월 고지서 발행분)
✅ 캐시백 지급 기준: 전년 동기간 대비 3% 이상 절감 시 절감률에 따라 차등 지급
✅ 신청 방법: K-가스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(https://k-gascashback.or.kr/ko)에서 회원 가입 후 신청
✅ 캐시백 지급 방식: 절감 목표 달성 시 신청자의 계좌로 현금 지급 (지급 시기는 절약 기간 종료 후 공지됨)
캐시백 절감률 별 지급 기준
절감율 | 캐시백 지급 단가 |
3% 이상 ~ 10% 미만 | 50원/㎥ |
10% 이상 ~ 20% 미만 | 100원/㎥ |
20% 이상 ~ 30% 이하 | 200원/㎥ |
즉, 사용량을 많이 줄일수록 보상도 커지므로, 적극적으로 절약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회원 가입 및 신청 방법
회원 종류
✔ 개인회원: 개별난방 사용자 (1인 1 고객식별번호만 신청 가능)
✔ 단체회원: 중앙난방 사용자 (공동주택 관리사무소, 입주자 대표회의 등에서 신청 가능)
- 중앙난방 사용자 중 난방비를 아파트 관리사무소 등에서 정산하고, 취사만 도시가스사에 납부하는 세대는 개인회원으로 신청 불가 (관리사무소, 입주자 대표회의 등에서 단체회원으로 신청 가능)
회원가입 시 준비사항
🔹 개인회원
- 도시가스 고지서
-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 (가입자와 도시가스 계약자가 다를 경우, 공지사항에서 다운로드 가능)
🔹 단체회원
- 사업자등록증(고유번호증)
- 법인 통장사본
- 가장 최근 발행된 도시가스 고지서 1부
캐시백 신청 방법
1️⃣ K-가스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 접속
2️⃣ 회원가입 및 로그인
3️⃣ 도시가스 요금제 정보 입력 후 신청
4️⃣ 절약 기간 동안 가스 사용량 줄이기
5️⃣ 절약 목표 달성 시 캐시백 지급
- 회원가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캐시백 신청이 완료됩니다.
캐시백 지급 안내
✔ 캐시백 지급 방식: 절감 성공 시 신청자의 계좌로 현금 지급
✔ 절감량 산정 방법: 12월 ~ 3월 사용량을 1월 ~ 4월 고지서 기준으로 비교하여 산정
캐시백 산정 예시
비교기간 | 2023년 12월 | 2024년 1월 | 2024년 2월 | 2024년 3월 | 합계 |
사용량(㎥) | 100 | 100 | 100 | 100 | 400 |
절감기간 | 2024년 12월 | 2025년 1월 | 2025년 2월 | 2025년 3월 | 합계 |
사용량(㎥) | 80 | 90 | 90 | 80 | 340 |
✅ 절감량: 60㎥ (400㎥ - 340㎥)
✅ 절감률: 60 / 400 = 15%
✅ 캐시백 금액: 60㎥ × 100원/㎥ = 6,000원
주요 일정 안내
항목 | 일정 |
신청기간 | 2024.12.01 ~ 2025.03.31 (4개월) |
절감기간 | 2024.12.01 ~ 2025.03.31 (4개월) |
절감량 산정기간 | 2025년 5월 ~ 6월 |
장려금 지급시기 | 2025년 7월 ~ 8월 (일정 변동 가능) |
도시가스 절약을 위한 실천 팁
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요. 일상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절약 방법을 소개해 드립니다.
1. 실내 온도 적정하게 유지하기
✔️ 실내 난방 온도를 18~20°C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.
✔️ 난방 온도를 1°C만 낮춰도 약 7%의 난방비 절약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2. 적정 습도 유지하기 (40~60%)
✔️ 습도가 낮으면 체감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가습기나 젖은 빨래 등을 활용해 실내 습도를 유지하세요. ✔️ 습도가 50% 이상이면 체감온도가 높아져 같은 온도에서도 더 따뜻하게 느껴집니다.
3. 온수 온도 조절하기
✔️ 보일러 온수를 사용할 때 40°C 정도로 설정하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. ✔️ 온수 온도가 너무 높으면 가스를 더 많이 소비하게 되므로,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4. 보일러 외출 기능 적극 활용
✔️ 외출할 때 보일러를 완전히 끄는 것보다 **외출 모드(약 10~15°C 설정)**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.
✔️ 난방을 다시 가동할 때 급격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5. 방한용품 활용하기
✔️ 문풍지, 단열 에어캡(뽁뽁이)으로 외풍 차단
✔️ 두꺼운 커튼 설치로 창문 단열 효과 높이기
✔️ 전기방석, 온수매트 등 국소 난방 기구 활용해 가스비 절감하기
가스비 절약하고 현금까지 챙기자!
올겨울 난방비 부담이 크다면,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를 적극 활용해 보세요!
✅ 가스비 절약 + 현금 보상
✅ 쉽고 간편한 온라인 신청
✅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절약 팁까지 적용하면 추가 절감 가능!
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,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여 따뜻한 겨울을 보내세요. 😊
🔗 신청 바로가기 → K-가스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실시간CCTV
- 오블완
- 건강식단
- 김장철쓰레기배출
- 김장쓰레기분리배출
- 혼외자 상속권
- 2025벚꽃개화
- 김장쓰레기과태료
- 김장쓰레기종량제봉투
- 김장쓰레기주의사항
- 체중감량
- 김장쓰레기배출방법
- 국민연금
- 실업급여
- 다자녀혜택
- 쓰레기분리배출
- 텃밭가꾸기
- 국가장학금
- 단풍절정시기
- 건강관리
- 간헐적단식
- 2024김장철
- 부가가치세신고
- 2025국가장학금
- 김장철쓰레기처리
- 김장쓰레기처리방법
- 건강한다이어트
- 티스토리챌린지
- 고용보험
- 쓰레기배출요령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